This is soft place, between days

간호이론 적용 논문 분석 모음(지속적추가예정) 본문

배움의 길목/간호이론

간호이론 적용 논문 분석 모음(지속적추가예정)

honeymung 2023. 6. 29. 09:34

간호이론을 적용한 논문들에 대해 조사하여 연구의 흐름을 분석하고 연구방향성 제시

 

최근 10년간의 대한간호학회지에 게재된 간호이론 적용 논문 분석

2010년~2019년까지 개제된 논문 중 간호이론을 적용한 논문 분석

연구방법

Whittemore와 Knafl의 통합적 고찰방법에 따라 1단계 문제규명, 2단계 문헌검색 및 자료수집, 3단계 자료평가, 4단계 자료분석, 5단계 자료제시 순으로 진행

연구에 적용된 간호이론 현황

거대이론 - Roy의 적응모델(1편)

중범위이론 - Kolcaba의 안위이론(comfort theory)(1편)

                 - Pender의 건강증진이론(health promotion mode)(5편)

                 - king의 목표달성이론(goal attainment theory)(3편)

                 - Watson의 돌봄이론(human caring theory)(1편)

                 - Reed의 자기초월이론(self-transcendence theroy)(1편)

                 - Mishel의 불확실성이론(uncertainty in illness theory)(1편)

이론검증을 위한 연구(7편), 모형구축을 위한 연구(2편), 중재 프로그램 개발 연구(2편), 도구 개발 연구(1편), 도구 검증 연구(1편)

결론 및 제언

총 848편 중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13편으로 매우 적은 편. 연구를 통해 간호이론을 활용하고 개발하여 간호지식을 발달시키는 노력이 필요. 간호현장은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어 간호이론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

박사 과정 정도면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를 하는 것이 권장(교수님 말씀)


사람 돌봄 이론을 적용한 국내 간호연구 분석

Kim S(김수지)는 만성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사람돌봄 이론(Interpersonal Caring)을 개발

연구방법

2018년까지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대상, 총 20편의 논문 선정됨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는 학생인 경우가 50%(10편)

사람돌봄행위를 측정하는 도구로 윤선희(2005)의 측정도구*가 많이 사용됨

* 윤선희(2005)측정도구 사람돌봄의 10가지 요소- 5가지 하위요소, 총 50문항

조사연구(8편) : 양의 상관관계(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행복감, 직무만족,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 등)

                         부의 상관관계(분노반추, 직무스트레스, 스마트폰 사용수준)

실험연구(11편) : 정신재활 프로그램, 대인간호중재프로그램, 호스피스프로그램, 멀티미디어프로그램, 음악활동프로그램 등

                          사람돌봄 이론이 효과가 있다고 나타난 변수 : 질병지식, 사회성, 희망, 삶의 질, 자아존중감, 혈청 코티솔 등

결론 및 제언

사람돌봄이론은 실무수준의 이론으로 수용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보여줌. 종합적이고 역동적인 의사소통으로 표현된다는 특성으로 사람돌봄이론은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

 


"Asian Oncology Nursing(2011~2017년)에 게재된 논문의 경향 분석 : 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이혜영, 김민경, 서원진, 이민진, 허예린, 김상희. Asian Oncology Nursing 19.1(2019): 1-8

연구방법

2011~2017년까지 AON에 게재된 232편 중 연구논문 중심으로 연구유형 및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고 이론을 적용한 논문 분석

연구결과

개념분석 및 이론이 적용된 연구는 총 22편(9.5%)

간호개념과 간호이론이 사용된 연구는 8편(3.4%)

- 거대이론 Orem의 자가간호이론(1편)

- 중범위이론 Mishel의 불확실성이론(2편) Lenz 등의 불쾌증상 이론(1편)

- 개념분석 2편(Walker와 avant의 개념분석방법)

- 실무이론 Choi와 Jun의 암염려경험(1편), Campinha-Bacote의 문화역량모델(1편)

결론 및 제언

논문의 주요어를 간호 메타패러다임에 맞추어 분석한 결과 ['건강'영역 - 암, 건강증진, 상태(불안, 불확실성)/'인간'영역 - 가족] 주요어

-> 종양 간호에서 환자의 불안과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암 환자에게 가족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환경' 관련 주요어는 주로 3개에 불과

->암 예방, 회족, 사회적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환경에 관련된 간호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함.

Kim(2017) - Mishel의 불확실성평가 도구를 이용, 노인 암 환자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

Kim(2014) - Lenz의 불쾌증상이론을 기반으로 증상경험과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 상황적 요인이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불쾌증상이론의 발전 필요성 제시

Jeon(2016) - Orem의 자가간호이론을 근거로 사용. 위암 수술 환자의 자가간호수행을 위한 타당도와 신뢰도과 증명된 도구 개발

Choi(2015) - 실무이론(암염려개념). 대장암 환자와 가족에게 암 염려 경험을 이론적 기틀로 사용하여 개발한 암 염려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교육프로그램이 암 염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 

간호학 분야에서 간호이론 기반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이론적 기틀의 적용을 권장하고 장려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음. 대학원과 같은 간호연구자 양성과정에서 간호이론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해야함. 또한 실무에 적용 가능한 간호이론을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간호이론과 관련된 전문적인 제도 구축이 필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간호개념개발 연구의 동향

이수미 외.(2020)

연구방법

2970~2018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간호개념개발 논문 총 216편 분석

연구결과

개념개발 방법 : Walker와 Avant의 개념분석 방법/Schwartz-Barcott와 Kim의 혼종모형/Rodgers의 진화론적 방법

총 155개 개념 분석 : 영성(spirituality)과 피로(fatigue) 6회씩 분석

결론 및 제언

2014년부터 타학문 분야 학술지에도 게재(타 학문 협력 강조, 의사소통 증가)

국내외 Walker Avant 개념분석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 이유는 사용하기 쉽고, 간호학에서 의미를 분명히 하여 의사소통해야 하는 개념이 아직도 많이 남아있음. 

국내 간호개념개발 연구에서도 다양한 개념개발 방법 활용이 필요

'영성'과 '피로' 다빈도 분석 - 급증하고 있는 만성 질환자와 말기 암 환자에 대한 전인적 간호의 필요성이 증가한 결과

최근 '정', '한', '문화간호역량' 개념분석 증가. 간호를 제공할 때 대상자가 속한 나라와 민족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중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

 

 

'배움의 길목 > 간호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leis 전환 이론  (6)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