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soft place, between days

[PhD Note]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자가간호중재가 혈액투석 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수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신유경, 2024) 본문

배움의 길목/생각의 채집기

[PhD Note]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자가간호중재가 혈액투석 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수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신유경, 2024)

honeymung 2025. 5. 16. 12:26

📘 논문 정보
- 제목: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자가간호중재가 혈액투석 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수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저자:  신유경
- 연도 / 저널:  2024/한양대학교 간호학석사 학위논문

 


🧩 연구 필요성 & 목적 

- 📄 단락별 정리

1 말기신부전 정의 및 혈액투석 환자의 특징 말기신부전 정의, 통계, 말기신부전 중 혈액투석 환자 분포 83.6%, 혈액투석 환자 특징 : 병원에 자주 방문, 다양한 신체적, 정서적 증상, 이환율 및 사망률
2 자가간호의 필요성 자가간호의 정의, 일생동안 신대체 요법을 받는 혈액투석 환자들에게 자가간호는 필수적
3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 및 선행연구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 : 동정맥루 관리, 약물복용, 투석 스케줄, 식이 및 수분관리. 정확한 지식 습득, 자기효능감 증진 -> 자가간호수행 향상. 자가간호수행과 생리적 지표의 관계는 아직 결과를 내리기엔 불충분(유의하지 않다는 연구들)
4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장점, 자가간호 프로그램에서 효과적이었던 선행연구들
5 목적 및 방향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자가간호중재가 자가간호수행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 혈액투석 환자들의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근거 제시하고자 함

 

 

- 목적 :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자가간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혈액투석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수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

 

더보기

[문헌고찰]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자가간호중재

 

[연구의 이론적 기틀]  없음

 


🧪 연구 방법
- 연구 디자인:

▷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 유사실험 연구


- 대상자:  혈액 투석실에서 혈액투석을 시작한지 3개월 이상 경과하였고, 1주일에2회 이상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투석 환자 중에서 선정

▷ 선행연구 조미경(2008)에 근거하여 계산한 효과크기 .83, 그룹수 2, 유의수준 .05, 검정력 0.7의 수준으로 필요한 표본크기를 G*power 3.1.9.7 program을 이용하여 산출, 혈액투석 월수금 화목토 오전 오후 환자를 실험군 대조군으로 나누어 정함.

 

- 사용된 도구/변수:  

 대상자의 특성 :

① 일반적 특성 : 성별, 연령, 학력, 종교, 결혼상태, 직업, 보험의 종류

② 질병관련특성 : 정기적 외래방문여부, 투석관련 정보수집 방법, 주 간병인, 치료비 부담자, 혈액투석 기간, 혈액투석 이후 입원경험 여부

 혈액투석관련 지식 : 홍계영(1999)이 개발한 20문항의 도구를 송은숙(2002)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정상 신장의 기능과 질병의 특성, 혈액투석, 투약, 식이, 운동, 일상생활, 합병증, 추후관리 및 치료 등의 7개 영역, 정답은1점, 오답은 0점으로 처리)

▷ 자기효능감 : 김주현(1995)이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자기효능감도구를 최은영(2005)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도구(총 10문항, 4점 likert 척도)

자가간호수행 : 송미령(2000)이 개발한 도구를 조미경(2008)이 수정 보완한혈액투석환자 자가간호행위 측정 도구를 사용(식이관련, 혈관관리, 운동과 휴식, 약물복용, 혈압과 체중관리, 신체관리, 사회생활 문항으로 구성, 총 35문항, 5점 likert 척도)

생리적지표 : 혈중 칼륨, 혈중 인, 체중, 체중증가량(투석 직후 체중 - 투석 직전 체중, 중재 직전 일주일의 평균값과 중재직후 일주일 평균값)

 

- 연구진행 및 절차 : 

더보기

1) 소책자 제작 : 대한 신장학회에서 제작된 적절한 혈액투석 치료근거기반 진료지침과 만성콩팥병 바로 알기를 수정, 보완 후 전문가 집단으로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고 소책자를 이용하여 사전 교육을 시행(논문 내에 내용표 작성되어 있음)

2) 사전교육 : 실험군 대조군 모두에게 6-9명씩 소그룹으로 하여 투석실 안에 있는 회의실에서 시행, 30분간 1회 시행

3) 사전조사

4) 자가간호중재 : 8주간 주 1회 40분 가량의 일대일 카카오톡 채팅을 통한 상담으로 진행, 투석실에서 실험군 핸드폰에 연구자의 카톡 ID 추가, 상담 시 투석 하지 않는 날의 식사 및 운동 내용을 사진 또는 텍스트로 시행한 당일 보내도록 함. 시행한 당일 보내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상담하는 날 일주일 기간 동안의 식단과 운동을 한꺼번에 보낼 수 있도록 설명

(1) Goal setting :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 개념분석(김봄이, 김혜영 & 이지선, 2021)에 근거(컨디션 유지, 체중 조절, 식단 조절)

(2) Action & Evaluation

- 1주 : 오리엔테이션 

- 2주 : 식품자전거 및 단백질 과지방

- 3주 : 인과 칼슘

- 4주 : 나트륨과 칼슘

- 5주 : 건체중, 영양상태 평가

- 6주 : 외식

- 7주 : 운동

- 8주 : 질의응답

5) 사후조사

 

- 분석 방법: SPSS WIN 29.0 프로그램을 사용, 사전 동질성은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를 실시, 그룹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여 검증

🔍 주요 결과
-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자가간호중재가 혈액투석 환자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

- 혈액투석관련 지식, 자가간호수행 점수, 생리적지표 유의한 차이 없었음.

 

💡 해석 및 시사점
- 이 논문이 제시하는 의미

▷ 혈액투석관련 지식은 차이가 없었음 : 선행 연구에 비해 애초에 점수가 높음. 연구 대상자의 지식정도가 높음을 의미. 사전 교육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 추후엔 지식의 중재 방법을 변경해 볼 것을 제안

 

자기효능감은 유의함 : 양진향 & 박정준(2023)의 연구, Lee 등(2021)의 연구에서도 확인.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건강행위 후 받은 격려와 피드백은 동기와 자신감을 증가시키고 자기효능감을 불러일으킴.

 

자가간호수행은 유의하지 않음 : 주 1회 상담이었기 때문에 개인이 생각날 때마다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모바일어플리케이션이나 정보 교류가 일어나 수 있는 집단 상담에 비해 정보의 접근성이 부족했을 것이라 생각. 집단 상담을 병행하거나 상담 횟수를 조정하는 것을 제안.

 

생리적지표 유의하지 않음 : 단기간에 변경하기엔 어려움

 


-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

.

 

- 실무/이론/교육적 시사점

.

 

 

🧠 내가 얻은 인사이트
- 이 논문에서 기억하고 싶은 점

생각보다 생리적 지표는 유의하게 나오기 힘듦. 주 1회 상담은 행동 변화를 일으키기엔 부족

1~8주간 식이, 운동방법 주차별로 나뉘어 교육

 

- 나의 연구에 어떻게 참고할 수 있을까?

-> 주차별로 가족과 환자에게 교육 자료 배포 : 과연 환자와 가족이 볼까? 의문.. 

-> 앱 활용과 주 1회 카톡으로 지지 상담하려고 했는데 어떻게 해야 만족도도 크고 활용도도 높을지 생각해봐야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