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soft place, between days
[PhD Note] 사업장 근로자 대상 모바일 앱 기반 심뇌혈관질환 예방 관리 프로그램 효과 (송은경, 2025) 본문
[PhD Note] 사업장 근로자 대상 모바일 앱 기반 심뇌혈관질환 예방 관리 프로그램 효과 (송은경, 2025)
honeymung 2025. 5. 17. 10:56📘 논문 정보
- 제목: 사업장 근로자 대상 모바일 앱 기반 심뇌혈관질환 예방 관리 프로그램 효과
- 저자: 송은경
- 연도 / 저널: 2025/울산대학교 간호학석사 학위논문
🧩 연구 필요성 & 목적
- 📄 단락별 정리
1 | 심뇌혈관질환 정의 | 심뇌혈관질환의 정의, 통계, 발병 전 예방 관리가 중요한 이유 -> 위험인자들이 대부분 조절 가능 인자이기 때문. |
2 | 근로자들에게 예방관리가 필요한 심뇌혈관질환 | 산업재해현황 질병재해사망 원인의 2순위인 심뇌혈관질환, 근로자들은 심뇌혈관질환이 발병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음. 위험성 인지가 어려워 예방 관리가 필요 |
3 | 형식적인 사업장 보건교육 | 사후관리도 안되는 게 현실. 올바른 지식 전달과 함께 행동 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방안 모색해야함. |
4 | PAOT 기법 | 사업장 근로자들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참여형 개선 기법(PAOT) : 브레인스토밍 방식으로 본인의 건강 문제와 해결방법을 찾도록 도와주는 참여유도 방법론 |
5 | 모바일앱 | 모바일앱의 장점, 보건소, 국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의 효과 검증 |
6 | 디지털헬스 리터러시 개념 및 모바일앱과의 상관관계 | 디지털헬스 기술과 함께 중요해진 디지털헬스리터러시, 모바일 앱은 디지털 헬스리터러시 개선 및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줌. |
7 | 목적 및 방향 | 근로자에게 모바일 앱 기반으로 PAOT 기법을 적용한 심뇌혈관 예방 프로그램을 적용 -> 심뇌혈관 질환 인지도를 높이고 건강한 생활습관 갖도록,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향상 ->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이 감소하는지 효과 분석-> 사망율 예방 가능 |
- 목적 : 울산 내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모바일 앱 기반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
[문헌고찰] 근로자 대상 심뇌혈관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참여형 개선 기법(PAOT)/디지털헬스 리터러시
-> Trials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on Programs for Workers 표 만들어
Authors - Design - Intervention - Endpoints - Results 형성
[연구의 이론적 기틀] 없음
🧪 연구 방법
- 연구 디자인:
▷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 유사실험 연구
- 대상자: 사업장 2군데에서 일하는 근로자 대상
▷ 회사내 온라인 게시판에 모집 안내문을 4주간 공지하였고 자발적으로 연 구에 참여 의사를 밝힌 근로자를 대상으로 선착순 모집
대다수의 연구는 프로그램의 전반부(4주)를 주요 유지율 평가 기간으로 설정하였고, 초기 4주 내에 모바일 앱 사용을 중단하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사용자 유지 패턴 및 이탈률 분석에 근거하여 중도탈락 기준은 모바일 앱 사용 빈도가 급격히 감소하거나 4주 이상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경우로 잡음
▷ 사업장내 부서 위치가 떨어져 있는 부서 끼리 나누어 실험군, 대조군으로 편의 배정
▷ 김은진과 황선영(48)의 연구에서 심혈관질환 예방 건강행위에 대한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는 0.8이었고, 독립 표본 t검정에 필요한 양측 검정 유의수준 .05, 검 정력 .80으로 적용하여 각각 26명으로 총 52명이 산출
- 사용된 도구/변수:
▷ 대상자의 특성 :
① 일반적 특성 : 학력, 결혼 상태, 가구 소득, 직급
② 질병관련특성 : 과거력과 가족력
▷ 신체적 지표/ 생화학적 지표 : 키, 몸무게, 허리둘레, 자동혈압계 (HPB-1300, Omron, Japan)- 등받이 의자에 등을 기대고 앉아 발은 바닥에 붙인 앉은 상태에서 5분 정도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2분 간격 총 2회 측정한 혈압의 평균값을 사용, 콜레스테롤 분석장치(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질, 저밀도지단백질)
▷ 심뇌혈관 질환 조기 증상 인지도 : 질병관리청 지역사회 건강 조사(2023) + 추가 구성(심근경색 조기증상, 뇌졸중 조기증상, 아닌 증상, 대처방법, 12문항)
▷ 심뇌혈관 질환 예방 관련 행위 : 건강보험공단에서 제작한 만 40세 생애 전환 건강 생활습관 평가도구를 근거로 박현주 (2008)(45)가 사업장의 근로자들의 건강 행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하였고 김은영과 황 선영(2011)(17)의 연구에서 내용타당도를 확인한 도구(흡연, 식이, 음주, 스트레스, 운동, 주기적 건강체크와 관련, 총 18문항)
▷ 디지털 헬스 기술 리터러시 : Yoon 등(2022)이 개발한 디지털 헬스 기술 리터러시 도구(총 34문항, 디지털기능/디지털비판 리터러시로 구성)
- 연구진행 및 절차 :
1) 심뇌혈관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 8주, 사용된 모바일 앱은 김고은(2023)(63)이 심혈관 질환 퇴원 후 관리를 위해 만든 '스마트 홈케어' 앱을 근로자 대상 심뇌혈관 질환 예방 관리용으로 수정하여 사용 -> Table 3 참고
- Session - Subject - Contents - Tools 표 구성 : 1~8주동안의 내용
2)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 지도
(1) PAOT 기반 1차 대면 상담 : 1차 대면 상담은 1회 30~40분 가량 진행, 건강상태와 생활습관 파악, 사전 설문조사+생화학적/신체적 지표 측정, 책자 사용하여 교육, 8주 동안 실천할 생활 습관 목표를 3가지 선택,
(2) 모바일 앱을 통한 실천 방법 : ‘스마트 홈케어’ 앱 다운로드 방법 및 이용방법을 교육, 매주 체중, 혈압을 스스로 측정 후 기입, 3가지 생활 습관 실천 목표에 대한 맞춤 설문에 응답, 설문 결과는 생활 습관 실천 목표를 항상 실천했을 경우 녹색으로, 가끔 실천했을 경우 주황색, 전혀 실천하지 않았을 경우 적색으로 시각화, 그래프 추이 확인, 설문 응답 시, 실천 격려 및 교육을 위한 건강관리지침이 제공, 참여자에게 문자를 통해 교육 영상이 2주차~ 7주차 동안 총 6회 제공(심뇌혈관질환관리 중앙지원단,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에서 제작 유튜브 URL 제공)
(3) 전화 상담 : 전화 상담은 격주로 이루어 졌고 10분 가량 소요, 잘 실천하고 있는 습관에 대해서는 격려와 긍정적 피드백을 제공하였고, 실천이 부족한 습관에 대해서는 장애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도록 도움
(4) PAOT 기반 2차 대면 상담 : 2차 대면 상담은 30분가량 소요되며, 8주 동안의 심뇌혈관질환 예방 관리 프로그램 종료 후 시행
- 분석 방법: SPSS WIN 29.0 프로그램을 사용, 사전 동질성은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를 실시, 사전 동질성 확보가 되지 않아 사전 값을 통제하고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 사후에 측정한 신체적/생화학적 지표(체중, BMI, 허리 둘레,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질, 저밀도지단백질), 심뇌혈관 질환 예방 관련 행위, 심뇌혈관 질환 조기 증상 인지도, 디지털 헬스 기술 리터러시에 대해 정규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기준은 왜도 2미만, 첨도 7미만으로 하였다(74). 사후 측정한 혈당은 정규성 가정을 만족하지 못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사후 측정한 혈당의 비교는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사후 측정한 수축기 혈압의 경우, 등분산을 만족하지 못하여 사전 수축기 혈압을 통제하고 Welch t 검정을 실시
🔍 주요 결과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심뇌혈관 질환 조기 증상 인지도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심뇌혈관 질환 예방 관련 행위, 디지털 헬스 기술 리터러시에는 효과가 없었음.
💡 해석 및 시사점
- 이 논문이 제시하는 의미
▷ 현장직 근로자 대상 전화 상담의 완료율이 14%에 불과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던 만큼, 전화 상담의 접근성과 지속 가능성에 대해 점검할 필요, 근로자의 근무 환경과 특성에 맞는 유연한 상담 방식이나 대체 중재 방안을 모색할 필요
▷ 신체적/생화학지표에서는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 : 사업장 내 최대한 거리가 떨어져 있는 부서끼리 배정했으나,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정보 오염이 발생했을 가능성,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된 경향을 보였는데, 신체적, 생화학적 지표 측정을 통해 스스로 위험 요인을 인지하여 건강 행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대부분 3개월 이상 강도 있는 개입이 들어갔을 때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음.
▷ 심뇌혈관 질환 예방 관련 행위 유의하지 않음 : 건강 행위 개선을 위한 비대면 교육이 접근성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음에도 불 구하고,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 현실적으로 사업장에서 소그룹 대면 교육을 여러 차례 반복해서 제공 하는 일은 근로 환경, 시간적 제약으로 유지되기 어렵다고 보기 때문에(46), 진화하는 보건 의료 환경 변화에 따라 근로자 건강 관리에도 디지털 헬스 기술 기반의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
▷ 심뇌혈관 질환 조기 증상 인지도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 : 모바일 앱 기반 심뇌혈관질환 관리 프로그램은 근로자들이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며, 이러한 교육을 통해 궁극적으로 근로자들의 예방 관리에 기여
▷ 디지털 헬스 기술 리터러시 유의하지 않음 : 디지털 헬스 기술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별도의 교육이 진행되지 않았던 점이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봄. 본 연구의 집단이 다양한 배경 요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 디지털 기술 수준을 진단하고 이에 기반으로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 설계하는 것이 중요.
* 노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증진 고혈압 자기관리 프로그램이 이루어 졌는데, 이 연구에서는 고혈압 교육 뿐만 아니라 4회에 걸쳐 인터넷, 앱 용어, 디지털 건강 정보 검색 방법 등 교육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향상을 이끌어냄
-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
선행연구에서 제언한 바 있는 PAOT 기반 프로그램의 전산화를 본 연구에서 최초 시도-> 기존 연구들과 다르게 근로자들의 실천 정도를 모바일 기반으로 기록하고 자가 관리 및 추적 관리할 수 있었음
PAOT기법 대면 상담 뿐만 아니라 전화 상담, 교육 자료 문자 발송, 모바일 앱 알림, 모바일 앱 건강관리지침을 포함한 비대면 중재가 함께 이루어졌
- 실무/이론/교육적 시사점
.
🧠 내가 얻은 인사이트
- 이 논문에서 기억하고 싶은 점
1-8주 contents 참고하기, 혈압이나 혈당 등 생리적 지표를 어떻게 측정했는지 기술하는 것, 논의는 이런식으로.
- 나의 연구에 어떻게 참고할 수 있을까?
-> 기존의 앱을 활용했다는 점이 내 연구 계획과 비슷
-> 전화 상담을 꼭 할 것인지, 전화 연결이 잘 될까, 오히려 대면으로 만나서 하는게 낫지 않을까
-> 디지털헬스 리터러시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먼저
-> 1차 상담은 어디에서 할 것인지, 2만원 상당의 체중계 선물